안녕하세요, EM 하나린입니다.
지난번 아리랑 개발팀 M&G에서 여러 가지 질문이 나왔습니다. 대개 게임 플레이나 버그와 같은 부분이었는데, 그 중에서 한 가지 EC용 폰트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설문을 통해서 개발팀에 전달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방식의 폰트를 추가할 수 있는게 낫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개발팀에서는 아직 이에 관련해 별다른 요청은 없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살펴보고 설문을 한 뒤에 별도로 개발팀에 한국 커뮤니티에선 이런 폰트를 원한다고 요청해보는게 낫지 않겠나 싶습니다.
폰트 추가는 어떻게 하나요?
우선적으로 폰트엔 저작권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설령 무료 폰트마다 사용할 수 있는 "이용 범위"를 두고 있습니다. 즉, 해당 폰트를 무료로 사용하려면 이런 조건 하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러한 조건을 위배할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울티마 온라인에 폰트를 추가한다는 건 영리를 목적으로 한 기업이 사용하게 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폰트를 추가할 경우 게임 이용자에게 폰트를 배포하는 걸로 간주될 수도 있습니다. 더욱이 게임을 하기 위해선 돈을 주고 구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료로 판매하는 걸로 간주될 수도 있겠죠. 따라서 이런 문제에서 대단히 조심하지 않는다면 저작권 침해의 문제로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몇몇 회사들은 게임의 완성도와 이런 이용 범위의 제약에서 벗어나도록 자체적으로 폰트를 제작하거나, 폰트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알다시피 현재 우리는 그럴 만한 여유가 없다는 건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무료 폰트 중에서도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폰트를 찾아야 한다는 겁니다. 이 점에서 한 분이 지난 번에 제시하신 [맑은 고딕]의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저작권이 있는 폰트로 확인해본 결과 라이센스 계약이 필요하다는 걸 확인했기에 어려울 걸로 생각됩니다.
폰트 이용 범위엔 어떤 것이 있나요?
그렇다면 폰트마다 어떤 식으로 조건이 있을까요? 크게 다음과 같은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이용주체
수정/재배포 가능 여부
판매 가능 여부
출처 표기 여부
더 세부적으로는 다음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로고 사용 여부
포장지 사용 여부
출판물 사용 여부 (간판, 현수막, 포스터, 영상, 전자책 등)
PT
WEB
임베딩
예를 들자면, 이런 식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xtable=border:0|cellpadding:0|cellspacing:0|100%x@]
{tbody}
{tr}
{td=bcolor:rgb(0, 0, 0)|71x24}
글꼴 종류
{/td}{td=bcolor:rgb(0, 0, 0)|71x24}
글꼴 변경
{/td}{td=bcolor:rgb(0, 0, 0)|71x24}
브랜딩
{/td}{td=bcolor:rgb(0, 0, 0)|71x24}
포장지
{/td}{td=bcolor:rgb(0, 0, 0)|71x24}
출판물
{/td}{td=bcolor:rgb(0, 0, 0)|71x24}
PT 디자인
{/td}{td=bcolor:rgb(0, 0, 0)|71x24}
WEB
{/td}{td=bcolor:rgb(0, 0, 0)|71x24}
임베딩
{/td}{/tr}
{tr}
{td=bcolor:transparent|71x24}
드림서체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X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r}
{tr}
{td=bcolor:transparent|71x24}
대한체
{/td}{td=bcolor:transparent|71x24}
X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O
{/td}{td=bcolor:transparent|71x24}
▲
{/td}{/tr}
{/tbody}
[/xtable]
롯데마트에서 제공하는 [드림서체]는 BI와 CI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즉, 해당 글꼴을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또는 기업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반대로 윤디자인에서 제공하는 대한체는 글꼴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그 외의 것들은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단 임베딩을 위해선 윤디자인측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별도 조건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울티마 온라인이 쓸 수 있는 폰트는 뭐가 있을까요?
사실 폰트 관련해서 개인적으로도 조심스럽기 때문에 이런 저런 내용을 전에 찾아본 적이 있었습니다. 포토샵 이미지 폰트를 사용하려고 말이죠. 그러나 개인적인 용도와는 달리, 상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특정하려면 대단히 까다롭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폰트의 글꼴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글자의 장평, 기울기, 굵기 등등을 변경해야 할 수 있어야 하고, 출판물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겠죠. 이런 저런 무료 폰트를 찾아본 결과, 많은 조건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단 한 가지 조건으로 사용할 수 없는 폰트가 너무 많았습니다. 계속해서 찾아본 결과,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다음의 폰트들을 찾았습니다. (혹시 그 외의 폰트를 찾으시는 분께선 제보를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폰트를 넣고 난 뒤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폰트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폰트를 추가하였을 때 글자 크기에 따라 가독성이 떨어진다던지 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폰트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또 폰트 자체로는 괜찮아 보였는데, 실제로 게임 내 적용했을 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 폰트 자체적으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다만, 이 부분은 저희가 확인할 수 없는 만큼 개발팀에서 판단하게 될 문제이고 향후 추가했을 때 우리가 예상한 모습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할 겁니다.
더 자세한 폰트의 모습을 보시고 판단하시길 바라며, 해당 그림 외에 직접 링크로 들어가셔서 폰트를 살펴보시고 의견을 개진해주신다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네이버의 나눔 폰트 시리즈
네이버의 나눔 폰트 시리즈는 오픈 라이센스로 개인 및 기업에 모두 무료로 배포되어 글꼴 자체를 유로로 배포하는 걸 제외한 나머지 소프트웨어 번들 및 재배포가 가능합니다. 사실상 글꼴 자체를 유로로 배포하는 것 외에는 모든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에서 대단히 유리한 폰트이기도 합니다.
다음/산돌구름의 미생체
미생체는 별다른 라이센스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폰트입니다. 아마도 유료 배포 자체는 금지되어 있겠지만 아무런 명시가 없다보니 사실상 전방위 라이센스를 무료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손글씨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게임 내에 적절한 폰트인가는 의문이 약간 들긴 하지만..
우아한 형제들의 배달의 민족 한나체/주아체/도현체
마찬가지로 유료 배포 자체는 금지되었지만 다른 부분에선 모두 사용 가능한 폰트입니다. 각각 한나체/주아체/도현체로 옛날 풍취가 나는 느낌으로 개인적으로 몇 번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비비트리의 비비트리체
비비트리에서 제공하는 비비트리체는 폰트 자체를 유료 배포하거나, 저작물로 등록하는 걸 제외하면 "저작권자 표기" 하에 수정 및 소프트웨어 번들 재배포가 가능합니다.
서울 특별시의 서울서체
서울 특별시에서도 서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서체는 폰트 자체를 유료로 판매하거나 양도하는 행위를 제외하곤 특별한 허가와 절차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그 외에 두 가지 폰트를 더 찾았는데, 하나는 폰트 자체의 오류가 존재하고 (풍이 퐁으로 나온다던지...) 다른 하나는 개인이 제작하신 폰트인 걸로 보이는데 저작권에 관련하여 정확한 지침 없이 개인 블로그에 나돌아다녀 제외하였습니다.
의외로 많은 무료 폰트가 폰트의 수정을 불허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폰트로 생각해도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그래서 거르고 거르다보니 위와 같이 몇 개 되지 않는 폰트만이 남았네요. 한 번 둘러보시고, 어떤 폰트가 좋을지 의견을 개진해주신다면 취합해 해당 폰트를 첨부하여 개발팀에 한 번 문의를 해보고 가능하다면 추가할 수 있도록 건의를 해보려고 합니다.
Continue reading...